인간에게 주어진 가장 큰 능력 중 하나가 소통할수 있는 언어 구사 능력이다
그리고 부부는 그 소통의장을 최대한 활용하여 허물없이
의논하고 나누고 싶은 진정한 짝이 되어야 한다
마치 이것은 절대자인 신에게 고백하듯 나의 모든 것을 고백할수 있는 수준까지 가도록
열어야 한다
부부가 소통의 순기능적인 대화를 통하면 높은 삶의질, 즉 행복을 얼마든지 창출해 낼수있다
그러나 소통의
역기능인 왜곡된 대화의 방식으로 접어들때 행복의 문은 닫히게 되는 것 입니다
1.왜곡된 대화의 형태
1)배타적 대화:지시적 언어,지적하는 대화,원칙만을 강조하는 대화 예)흥, 오늘도 늦어셨군 .... 당신 오늘 밭에서 따온 가지는
흠이있어 ...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은 들은바 있으나 좋은점을 말하기 보다는 남편이나 아내의 부족한 점을 매개로 대화를
시작하는 경우 이다
이를 경우 부부의 대화는 줄어들게 되며,원칙만을 제시할때 상대는 진실을 숨기거나 거짓을 말하게 된다
2)권위적 대화:가부장적,남존여비,예)남편의 말을 왜 안듣지? 주로 권위적 가정에서 성장한 자녀들이 또다시 이런 형태의
대화를
재생산 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경우 아내와 자녀들은 자존감이 떨어지게 되고 남편은 스스로 외톨이의 삶을 선택하게 된다
3)부정적 단어 구사:최악의 경우로 거친 말로 상대에게 상처를 주게 되고 화를 격동케 한다
또한 이때에는
고음 즉 목소리를 높이게 됨으로 이성의 통제에서 벗어나 감정적으로 변하게 된다
예)인신공격,비교,자존심을 건드리는
말,무시,거짓말,등
2. 순기능적 대화의 형태
1)포용적 대화:부부가 깊은 대화를 나누기 위한 대화의
자세이다
예)얼굴과 얼굴을 바라보며 적당한 반응을 한다 그리고 그럴수 있어! 아~그래,충분히 이해 할수있어!
진심으로 경청 하고 공감하며 질문하여 벽이 없이 소통할수 있어야 한다
2)나 전달 방식:부부의 대화에 있어
대화의 주체를 상대방에 두면 자칫 공격적으로 흐르거나 책임을 전가하는 분위로 흐르게 된다
예)당신 요즘 늦게 오니 나에게 관심이
없는것 같아!
이를 바꾸어 나를 주체로 대화 하면 설득력 있는 대화가 된다 예)여보 나는 말이야 당신이 늦게 들어오니까 당신의
관심에서 내가 멀어지는 느낌이야~
3)긍정적 단어구사:말이 씨가 된다 인생을 불사르는 동기가 되기도하고,용기와 진보의
희망을 심어 주기도 한다
격려의 단어로 대화하는 습관을 가진다면 부부는 사랑스런 대화로 소통하게 될것입니다
예)수고
하셨어요~ 고마워요~아내를 향하여 예쁘고,사랑스러워요 남편을 향하여 잘했어요~우리 남편 최고야!멋있어~잘 해낼거야~당신을 믿어요!
마음에 있는 것을 말로 표현 하지않는다면 아무 변화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용기를 내어 긍정의 말과 칭찬의 말을
시인하게 되면 기적은 이미 시작이 된것입니다
4)소통의 넓이와 깊이의 확대가 필요하다
부부가 격려와 배려의 언어
생활이 기본으로 자리잡게 되면 대화의 친밀도는 더해지고 밤을 새고 이야기 보따리를 풀어도 대화의 샘은
마르지 않고 재미가 더해간다
마치 신에게 고해성사하듯 인생의 깊은 면 까지 소통하고 대화 한다면 최고의 성숙 단계에 이르는 통하는 부부라 할수있겠다
5)칭찬은 시도 때도 없이,원칙과 부탁은 특별한 시간과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부부의 일상속에 칭찬은 윤활유 와
같은 역활을 해서 명랑하고 유쾌한 가정의 분위기를 생산한다
방향과 원칙 배우자에 대한 바램에 대한 사항은 따로 시간을 정해서
하는것이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주말,매월1회 정기적 시간과 장소,여행등 을 가지면 얼굴 붉히지 않고 어려운 이야기도 지혜롭게
해결해 나갈수
있을 것입니다